무한 스크롤 vs 페이지네이션, 내가 내린 선택과 후회
·
Frontend Development
최근 회사에서 관리자 페이지를 리뉴얼하면서 "페이지네이션을 할까, 무한 스크롤을 할까" 고민이 생겼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막상 구현하다 보니 생각보다 복잡한 문제들이 많더라고요. 특히 백엔드 API와의 협업에서 예상치 못한 이슈들을 겪으면서 배운 것들을 공유해봅니다.처음 마주친 상황우리 관리자 페이지에는 주문 목록, 사용자 목록, 상품 목록 등 데이터가 많은 테이블들이 있었어요. 기존에는 단순한 테이블에 20개씩 보여주고 페이지 번호로 넘기는 구조였는데, 새로 디자인된 UI는 좀 더 모던한 느낌이었거든요.React로 구현하면서 처음에는 간단하게 생각했어요:const [currentPage, setCurrentPage] = useState(1);const [data, setData] = u..
JavaScript의 this 바인딩: 상황별 동작 원리
·
Frontend Development
JavaScript를 학습하면서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this입니다. 다른 언어와 달리 JavaScript의 this는 함수가 호출되는 방식에 따라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this가 어떻게 바인딩되는지 6가지 핵심 상황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this 바인딩의 기본 원리JavaScript에서 this는 함수가 호출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는 함수가 정의된 위치가 아닌, 실행되는 순간의 호출 방식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마치 전화를 걸 때 상황에 따라 다른 사람과 연결되는 것과 비슷합니다.1. 전역 호출 (Global Invocation)전역에서 함수가 호출되면, this는 전역 객체를 참조합니다.function g..
파이썬 GIL과 멀티스레딩: 언제 멀티스레드가 효과적일까?
·
Backend Development
파이썬 개발자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GIL(Global Interpreter Lock). 특히 취업 면접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골 질문 중 하나입니다. "GIL 때문에 파이썬에서는 멀티스레딩이 의미가 없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실 텐데요, 과연 이 말이 100% 맞을까요?오늘은 파이썬의 GIL에 대한 오해를 풀고, 멀티스레딩이 실제로 효과적인 상황들을 알아보겠습니다.GIL이란 무엇인가?기본 개념GIL(Global Interpreter Lock)은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파이썬 바이트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뮤텍스(mutex)입니다.import threadingimport timedef cpu_bound_task(): # CPU 집약적인 작업 시뮬레이션 tot..
CI/CD 파이프라인: 개발부터 배포까지 자동화의 모든 것
·
Backend Development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CI/CD 파이프라인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코드 변경부터 운영 환경 배포까지의 전체 과정을 자동화하여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오늘은 CI/CD의 핵심 개념부터 실무 구축까지 완전히 마스터해보겠습니다.CI/CD란? 현대 개발의 핵심 철학기본 개념과 현실 세계 비유CI/CD를 이해하기 위해 자동차 생산 공장을 생각해보세요:🏭 전통적인 개발 방식 (수작업 공장)👨‍🔧 개발자가 코드 작성 → 📋 수동 테스트 → 🔧 수동 빌드 → 📦 수동 배포결과: 느리고, 실수 많고, 일관성 없음🤖 CI/CD 방식 (자동화 공장)👨‍💻 코드 푸시 → 🔄 자동 테스트 → ⚙️ 자동 빌드 → 🚀 자동 배포결과: 빠르고, 안정적이고,..
웹 성능 최적화의 핵심: preconnect, preload, prefetch 가이드
·
Frontend Development
웹 사이트 성능을 개선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리소스 힌트(Resource Hints)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HTML의 요소와 함께 사용하는 preconnect, preload, prefetch 속성을 올바르게 활용하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리소스 힌트의 차이점과 실무 활용법을 완전히 정복해보겠습니다.리소스 힌트란? 브라우저에게 미리 알려주는 방법기본 개념리소스 힌트(Resource Hints)는 브라우저에게 앞으로 필요할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기법입니다. 마치 레스토랑에서 미리 주문을 받아 요리를 준비하는 것과 같습니다.왜 필요한가?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외부 리소스에 의존합니다:폰트 파일: 구글 폰트, 웹 폰..
CSS 쌓임 맥락의 모든 것: Z-Index가 작동하지 않는 이유
·
Frontend Development
웹 개발을 하다 보면 z-index: 9999를 설정했는데도 요소가 원하는 위치에 쌓이지 않아 당황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이는 대부분 쌓임 맥락(Stacking Context)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오늘은 CSS에서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인 쌓임 맥락을 완전히 정복해보겠습니다.쌓임 맥락이란? 3차원 공간의 이해기본 개념쌓임 맥락(Stacking Context)은 HTML 요소들이 가상의 Z축 상에서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결정하는 3차원 렌더링 개념입니다. 마치 투명한 유리판 여러 개를 겹쳐 놓은 것처럼, 각 요소가 어느 층에 위치할지를 정하는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현실 세계 비유쌓임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책상 위의 서류 더미를 생각해보세요:📄 최상위 서류 (Z-in..
JavaScript 매개변수 전달의 비밀: Call by Value와 참조의 모든 것
·
Frontend Development
JavaScript를 학습하다 보면 함수에서 매개변수가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객체를 다룰 때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와서 당황하게 됩니다. 오늘은 JavaScript의 매개변수 전달 방식을 완전히 이해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얻어보겠습니다.시작하기 전에: 문제 상황 분석먼저 다음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function change(a, b, c) { a = 'a changed' b = { b: 'changed' }; c.c = 'changed';}let a = 'a unchanged';let b = { b: 'unchanged' };let c = { c: 'unchanged' };change(a, b, c);console.log(a, b,..
Next.js Server Action: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
·
Frontend Development
Next.js의 App Router와 함께 등장한 Server Action은 풀스택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기존의 API Route를 거치지 않고도 서버 로직을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호출할 수 있는 이 혁신적인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Server Action이란?기본 개념Server Action은 Next.js 13.4 버전부터 도입된 기능으로, 서버에서 실행되지만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호출할 수 있는 비동기 함수입니다. 마치 클라이언트 함수를 호출하는 것처럼 간단하게 서버 로직을 실행할 수 있어, 개발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킵니다.기존 방식과의 차이점기존 방식: API Route 사용// pages/api/create-review.ts (기존 방식)export default async..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유연하고 테스트 가능한 코드 만들기
·
Backend Development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의 유연성과 테스트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SOLID 원칙 중 하나인 의존성 역전 원칙(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을 실현하는 이 패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의존성 주입이란?기본 개념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은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필요한 객체를 주입받아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마치 요리사가 직접 재료를 구매하러 가지 않고, 누군가가 미리 준비한 재료를 받아서 요리하는 것과 같습니다.의존성이란?코드에서 의존성(Dependency)은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사용하는 관계를 의미..
네트워크 IP 할당의 모든 것: 정적 IP vs 동적 IP,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
Backend Development
네트워크 관리를 하다 보면 호스트에게 IP 주소를 어떻게 할당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정적 IP와 동적 IP,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이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두 방식의 차이점과 DHCP 동작 원리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IP 주소 할당 방식의 기본 개념정적 IP 할당 (Static IP Assignment)정적 IP 할당은 관리자가 수동으로 각 호스트에 고정된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한 번 설정하면 호스트를 재시작하거나 네트워크에 재연결해도 동일한 IP 주소를 유지합니다.정적 IP 설정에 필요한 정보# Linux에서 정적 IP 설정 예시sudo ip addr add 192.168.1.100/24 dev eth0 #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sudo ip rou..